Spring Boot는 Java 기반의 웹 개발 프레임워크인데요,
존의 Spring Framework보다 설정이 간편하고 빠른 시작이 가능합니다.
Spring Boot Tutorial을 설명할 때, 대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룹니다.
- Spring Boot 소개와 환경 설정
- Spring Boot Starter, Spring Boot AutoConfiguration
- Spring Boot Web MVC (Model-View-Controller) 구조
- Spring Boot Data JPA
- Spring Boot Test
이번 에는 Spring Boot 소개와 환경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먼저 Spring Boot 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Spring Boot는 스프링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고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.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불편한 설정들을 자동으로 처리해주고, 프로젝트 생성부터 배포까지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해줍니다.
- Spring Boot는 Maven이나 Gradle과 같은 빌드 도구를 이용하여 의존성을 관리합니다. 빌드 도구를 이용하면 스프링과 관련된 라이브러리들을 쉽게 가져올 수 있으며, 이를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합니다.
- Spring Boot의 환경 설정은 간단합니다. 설정 파일을 만들어서 프로퍼티 값들을 설정하면 됩니다. 또한, Spring Boot는 다양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jar 파일로 패키징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이용하여 배포하기도 용이합니다.
- Spring Boot를 사용하여 개발을 진행하려면 Java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본적인 개념과 사용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. 또 한, Spring Boot의 자동 설정 기능과 스프링부트에서 사용되는 주요 라이브러리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 이러한 개념과 사용 방법들은 Spring Boot 공식 문서나 다양한 온라인 자료를 참고하여 학습할 수 있습니다.
이처럼 웹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고 쉽게 개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입니다.
간단하게 Spring Boot를 사용하여 간단한 RESTful API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먼저,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 이를 위해 Spring Initializr(https://start.spring.io/) 또는 IDE의 Spring Boot Starter Project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프로젝트 생성 시, Web, JPA, H2(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)와 같은 필요한 의존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2. 프로젝트를 열고, REST API를 위한 Controller 클래스를 작성합니다.
@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클래스가 RESTful API를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내고,
@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API 엔드포인트를 매핑합니다.
@RestController
@RequestMapping("/api")
public class MyController {
@GetMapping("/hello")
public String sayHello() {
return "Hello, World!";
}
}
3.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, localhost:8080/api/hello URL로 GET 요청을 보내면
"Hello, World!" 문자열을 응답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
이는 Spring Boot를 사용하여 간단한 RESTful API를 만드는 과정의 예시입니다.
더 복잡한 예제는 다양한 블로그나 공식 문서(https://spring.io/guides)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.
'JAVA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Boot WebFlux Example (0) | 2023.04.11 |
---|